후안 2세 (카스티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후안 2세 (카스티야)는 1406년 카스티야 왕위에 오른 인물로, 1세 10개월의 어린 나이에 즉위하여 어머니와 숙부의 섭정을 받았다. 그의 치세는 49년으로 길었으나, 유약한 성격으로 인해 측근 알바로 데 루나에게 국정을 맡겼다. 루나는 권력을 강화하며 귀족들과의 갈등을 빚었고, 왕세자 엔리케와 왕비 이사벨의 반발을 샀다. 결국 루나는 처형되었고, 후안 2세는 1454년 사망했으며, 왕위는 엔리케 4세가 계승했다. 그는 유대인에 대해 관대한 정책을 폈으며, 그라나다 토후국과의 외교 관계를 맺었다. 후안 2세는 두 번 결혼하여 여러 자녀를 두었으며, 그 중 이사벨 1세는 스페인 통일의 기초를 다지는 데 기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후안 2세 (카스티야)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군주 | 카스티야 국왕 겸 레온 국왕 |
통치 기간 | 1406년 12월 25일 – 1454년 7월 20일 |
이전 통치자 | 엔리케 3세 |
다음 통치자 | 엔리케 4세 |
배우자 | 마리아 데 아라곤 (1420년 결혼, 1445년 사망) 이사벨 데 포르투갈 (1447년 결혼) |
자녀 | 카탈리나 데 카스티야 레오노르 데 카스티야 엔리케 4세 이사벨 1세 알폰소 데 카스티야 외 |
왕가 | 트라스타마라 |
아버지 | 엔리케 3세 |
어머니 | 카탈리나 데 랭커스터 |
출생일 | 1405년 3월 6일 |
출생지 | 토로, 사모라 주 |
사망일 | 1454년 7월 20일 |
사망지 | 바야돌리드 |
매장지 | 미라플로레스 차터하우스 |
![]() | |
이름 | |
스페인어 | 후안 2세 |
2. 섭정기
후안 2세는 1406년 12월 25일 아버지 엔리케 3세의 사망으로 불과 1세 10개월의 나이로 왕위에 올랐다. 어머니 카탈리나와 숙부 페르난도 데 안테케라가 공동 섭정이 되었다.[7][8][9] 페드로 1세의 손녀를 어머니로 둔 후안 2세의 즉위는 페드로 1세의 계통(부르고뉴 가문)과 트라스타마라 왕가의 통합을 의미했다.[10]
후안 2세의 치세는 49년으로 길었지만, 유약하고 주변의 영향을 쉽게 받는 성격으로 인해 카스티야에 불운한 결과를 초래했다. 그는 시 짓기, 사냥, 마상 시합과 같은 오락 외에는 별다른 관심이 없었다.
2. 1. 페르난도 1세의 섭정과 사망
1412년 숙부 페르난도 1세가 카스페 타협을 통해 아라곤의 왕으로 선출되면서 카스티야를 떠났다. 레콩키스타를 주도하여 1410년 나스르 왕조로부터 안테케라를 탈환하는 등 큰 명성을 얻었던 페르난도 1세는, 아라곤 국왕이 된 후에도 카스티야의 유력 귀족층과 결탁하여 정치에 간섭했다.[11]1416년 페르난도 1세가 사망한 후에도 그의 아들들인 알폰소 5세, 후안(훗날 아라곤 왕 후안 2세), 엔리케 3형제는 "아라곤의 왕자들"Infantes de Aragónes로 불리며 카스티야 정치에 지속적으로 간섭했다. 이는 후안 2세에게 왕권의 위협으로 작용했고, 그는 아라곤 왕자들과 결탁한 귀족층을 배척하고 알바로 데 루나를 중용하여 전제 정치를 시도했다.[11]
2. 2. 카스티야 왕비 랭커스터의 캐서린의 단독 섭정
1412년 숙부 페르난도 1세가 카스페 타협을 통해 아라곤 왕국의 왕으로 즉위하여 카스티야를 떠나자, 모후 랭커스터의 캐서린이 단독으로 섭정을 맡았다.[16] 섭정으로서 레콩키스타를 주도하고, 1410년 나스르 왕조로부터 안테케라를 탈환한 숙부 페르난도 1세의 명성은 높았지만, 아라곤 국왕이 된 후에도 카스티야의 유력 귀족층과 결탁하여 간섭을 지속했다.[17] 1416년 숙부 페르난도 1세가 사망한 후에도 그의 아들들인 알폰소 5세, 후안(후의 아라곤 국왕 후안 2세), 엔리케 3형제는 "아라곤의 왕자들"Infantes de Aragónes로 불리며 카스티야에 대한 간섭을 지속했다.1418년 모후 랭커스터의 캐서린이 사망하면서 섭정이 종료되었고, 후안 2세의 사촌형인 인판테 후안과 엔리케가 공동 섭정이 되면서, '아라곤 왕자들' 간의 권력 투쟁이 본격화되었다.[12]
3. 즉위와 통치
후안 2세는 1세 10개월의 어린 나이에 즉위하여, 어머니 카탈리나와 숙부 페르난도 데 안테케라가 섭정을 맡았다.[7][8][9] 그의 즉위는 페드로 1세의 계통(부르고뉴 가문)과 트라스타마라 왕가의 통합을 의미했다.[10]
후안 2세의 치세는 카스티야 역사상 가장 긴 통치 기간 중 하나였지만, 그는 유약한 성격으로 인해 총신 알바로 데 루나에게 크게 의존했다.[4] 그는 시 짓기, 사냥, 토너먼트 등을 즐겼으며, 국정은 알바로 데 루나가 좌지우지했다.[4]
1431년 후안 2세는 유수프 4세를 그라나다 토후국의 그라나다 술탄으로 앉히고 조공과 종속을 약속받았다. 그는 세고비아 알카사르 건설에 기여했으며, "후안 2세의 탑"을 건설했다. 또한 유대인의 사회 활동을 제한하는 법을 선포했다가, 이후 관대한 태도로 전환하기도 했다.
후안 2세는 두 번째 왕비 포르투갈의 이사벨의 영향으로 알바로 데 루나를 해임하고 처형했다.[14] 1454년 바야돌리드에서 사망했으며, 장남 엔리케 4세가 왕위를 계승했다.
3. 1. 권력 투쟁
1412년 숙부 페르난도 1세가 아라곤 국왕으로 즉위하면서 후안 2세에게 불리한 상황이 전개되었다. 페르난도 1세는 레콩키스타를 주도하고 1410년 나스르 왕조로부터 안테케라를 탈환하는 등 높은 명성을 얻었으며, 아라곤 국왕이 된 후에도 카스티야의 유력 귀족층과 결탁하여 간섭을 지속했다.[9] 1416년 숙부가 사망한 후에도 그의 아들들인 알폰소 5세, 후안(후의 아라곤 국왕 후안 2세), 엔리케 3형제는 "아라곤의 왕자들"Infantes de Aragónes로 불리며 카스티야에 대한 간섭을 이어갔다.[11]후안 2세는 왕권에 위협을 느꼈고, 아라곤 왕자들과 결탁한 귀족층을 배척하고 알바로 데 루나를 중용하여 전제 정치를 시도했다. 이는 스페인 총신 정치의 첫 번째 사례로 여겨진다.[11] 그러나 이러한 후안 2세의 태도는 귀족과 아라곤 왕자들 간의 대립을 심화시켰다. 알폰소 5세는 나폴리 왕국 원정에, 후안은 나바라 왕국 왕위 계승에 집중하면서, 아라곤 왕자들 중에서는 엔리케가 직접적으로 후안 2세와 대립했다.[12]
1418년 어머니를 잃은 후안 2세는 엔리케에게 유괴되기도 하고, 누나인 카탈리나와 결혼한 엔리케가 카스티야 궁정에 진출하는 등 긴장을 늦출 수 없었다.[12] 갈리시아 농민 반란, 비스카야 이단 운동 등 사회 불안 속에서, 1430년 알폰소 5세와 휴전 협정을 맺고 아라곤 왕자들을 카스티야에서 몰아냈다. 그럼에도 간섭은 계속되었지만, 1445년 올메도 전투에서 아라곤 파 귀족과 엔리케의 군대를 격파하고(엔리케는 부상으로 사망) 다시 아라곤으로부터의 간섭을 끊었다.[13] 이후 후안 2세는 재정 기구 정비, 코르테스 통제, 아우디엔시아를 샹실리에리아(고등 법원)로 개칭하고 바야돌리드로 이전하는 등 왕권 강화를 추진했다.[13]
3. 1. 1. 총신 루나의 기용
1419년 3월 7일, 후안 2세는 만 14세로 성인이 되어 친정을 선포했지만, 실질적인 권력 이양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후안 2세는 이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 알바로 데 루나를 기용하여 자신의 사촌형들(후안과 엔리케)과 귀족들을 견제하려 했다.[4] 알바로 데 루나는 1410년 그의 삼촌이자 톨레도 대주교인 페드로의 소개로 궁정에 들어와 후안 2세의 총신이 되었다. 루나는 후안 2세가 좋아하는 여러 분야에 재능을 보이며 왕의 마음을 사로잡았고, 점차 궁정 내 영향력을 키워나갔다.후안 2세의 치세는 카스티야 역사상 가장 긴 통치 기간 중 하나였지만, 후안 2세 자신은 유능한 군주가 아니었다.[4] 그는 시 짓기, 사냥, 토너먼트 등을 즐겼으며, 그의 총신인 알바로 데 루나가 국정에 큰 영향을 미쳤다.
후안 2세는 알바로 데 루나를 중용하여 전제 정치를 시도했는데, 이는 스페인 총신 정치의 첫 번째 사례로 여겨진다.[11]
3. 1. 2. 인판테 엔리케의 쿠데타
1420년 7월, 사촌형인 인판테 엔리케(1440~1445)가 쿠데타를 일으켰다. 엔리케는 형 후안이 나바라의 블랑쉬와 결혼하기 위해 카스티야를 비운 틈을 타 토르데시야스 왕궁을 습격, 후안 2세(1405~1454)를 생포하고 정권을 장악했다.[18]8월, 후안 2세는 엔리케의 강요로 그의 여동생 마리아와 아빌라에서 결혼했다.[19] 2년 전 이미 사촌누이 마리아와 약혼한 상태였으나, 결혼은 다소 강압적인 분위기 속에서 진행되었다. 쿠데타 소식을 접한 엔리케의 형 후안이 군대를 일으켜 올메도에 도착하자, 후안 2세는 엔리케의 요구로 탈라베라로 거처를 옮겼다. 11월 29일, 루나의 도움으로 후안 2세는 탈출에 성공, 몬탈반 성으로 피신했다.
인판테 엔리케는 성을 포위했으나 폭풍으로 인해 실패하고 철수했다. 귀족들의 지지가 약해지자 쿠데타는 실패로 끝났다.[20] 1422년 9월 23일, 엔리케는 군대를 해산했고,[21] 1423년 6월 12일, 신변 보장을 약속받고 입궐했으나 이틀 후 반역죄로 체포되어 모라 성에 감금되었다. 후안 2세는 엔리케의 직위와 재산을 몰수해 귀족들에게 분배했다.
쿠데타가 종결되자, 후안 2세는 루나에게 영지를 하사하고 카스티야 총사령관으로 임명했다.[22] 이는 루나가 정권의 중심 인물이 되는 계기가 되었다. 알폰소 5세는 동생 엔리케의 석방을 위해 외교적 압박을 가했고, 후안 2세는 1425년 10월 엔리케를 석방했다.[23] 석방된 엔리케는 반국왕파 귀족연합을 이끌며 루나를 몰아내기 위한 권력 투쟁에 나섰다.
3. 1. 3. 루나의 실각과 복귀
귀족 연합의 압박이 심해지자 1427년 9월 루나는 일시적으로 실각했다.[24] 그러나 귀족들의 요청으로 실각한 지 5개월 만인 1428년 2월에 루나는 정계에 복귀하여, 인판테 엔리케(1440~1445)와의 권력 투쟁이 다시 시작되었다. 1428년 6월, 국왕 후안 2세는 인판테 엔리케에게 궁정을 떠날 것을 명령했다.1429년, 알폰소 5세가 엔리케와 연합하여 카스티야에 선전포고를 하였다.[25] 아라곤과 나바라 연합군이 하드라케(Jadraque)까지 침공했으나, 후안 2세의 왕비 마리아(알폰소 5세의 누이)의 노력으로 실제 전쟁은 일어나지 않았다. 1430년 양국은 마자노 조약을 체결하여 사건이 마무리되었고, 인판테 엔리케는 망명길에 올랐다.[26]
3. 1. 4. 올메도 전투
1445년 5월 19일, 올메도 전투가 벌어졌다. 이 전투에서 알바로 데 루나 재상이 이끄는 국왕군은 아라곤과 연합한 카스티야 귀족 연합군을 상대로 대승을 거두었다.[27] 이 전투에는 아라곤의 인판테 엔리케(1440~1445)도 참전하였는데, 전투 중 부상을 입고 사망했다.[27] 이 승리로 루나는 일생 최대의 정치적 라이벌을 제거하는 데 성공했다.[27]인판테 엔리케(1440~1445)가 사망하자 카스티야 왕국은 완전히 루나의 손에 들어갔다. 엔리케의 죽음으로 공석이 된 산티아고 기사단 단장에 루나가 임명되면서, 그의 권력은 후안 2세의 힘을 능가할 정도가 되었다.[28][29]
3. 2. 총신 루나의 몰락
루나는 후안 2세의 총신으로서 국정을 장악하고, 그의 측근들은 권력을 남용하여 부정부패를 일삼았다. 이는 왕세자 엔리케 및 계비 이사벨과의 갈등을 심화시켰다. 1445년 후안 2세의 첫 왕비 마리아가 독살 의혹 속에 사망하자, 죽기 직전 루나를 주모자로 지목했다.[31]후안 2세는 유약하고 주변 영향을 쉽게 받는 인물로, 정치보다 시, 사냥, 마상 시합 등 오락에 더 관심이 많았다. 이러한 왕의 성향은 루나의 권력 독점을 심화시켰다.[4]
3. 2. 1. 왕세자 엔리케
1425년 후안 2세의 첫 번째 왕비 마리아는 훗날 엔리케 4세가 되는 엔리케 왕세자를 낳았다. 루나는 왕세자를 어린 시절부터 자신의 통제하에 두기 위해 세고비아에 별도의 궁정을 마련해주고[30] 왕자의 동료 선발과 교육을 직접 감독하였다. 엔리케의 어린 시절은 이미 루나가 국왕의 총신으로서 카스티야의 권력을 장악하고 그의 전횡으로 부정부패가 만연한 혼란스러운 시대였다. 아버지 후안 2세는 정치에 관심이 없었을 뿐만 아니라 무능하였고, 루나를 지나치게 신임하여 모든 것을 맡겨버렸기 때문에 꼭두각시나 마찬가지였다.[31]1445년 어머니 마리아(후안 2세의 왕비)가 독살로 의심되는 상황에서 사망하였다. 숨을 거두기 직전 주모자로 루나를 지목하였으나, 사후에 수사 등 어떠한 후속 조치도 이루어지지 않았다. 왕세자 엔리케가 장성하면서 루나와의 갈등이 심해졌으나, 루나가 국정을 장악하고 그의 측근들이 휘두르는 권력 앞에서는 무기력할 수밖에 없었다. 루나의 권력 전횡이 부당했으나 엔리케 왕세자는 심약하고 담대함도 부족했기에[31] 뚜렷한 해결책을 찾지 못하고 있었다.[31]
3. 2. 2. 계비 이사벨
이사벨은 루나의 지나친 간섭에 불만을 품었다.[33] 왕비로서 국정이 혼란스럽고 백성들이 도탄에 빠져있는 상황을 두고 볼 수 없었던 이사벨은 귀족의 힘을 누르고 실추된 왕권을 강화하기 위해 노력했다. 이사벨의 노력으로 1년 사이에 루나의 권력은 거의 절반 가까이 축소되었다.[34]3. 2. 3. 동맹과 정변
이사벨(1428~1496)은 전처의 자식인 엔리케 왕세자(1425~1474)와 정치 동맹을 맺었다.[31] 재상 루나(1388~1453)를 제거하여 그의 영향력에서 벗어남과 동시에 왕권강화라는 공동의 관심사가 있었기에 쉽게 의기투합 할 수 있었다. 그러던 중 왕실 회계사[33]가 살해당하는 사건이 발생하였는데, 이는 루나가 사주한 일이었다.[33] 국왕 후안 2세는 왕비 이사벨의 체포 요구에 동의할 수밖에 없었다. 1453년 4월 4일에 루나는 부르고스에서 체포되었으며 이를 계기로 왕비 이사벨과 왕세자 엔리케는 정변을[34] 일으킨 후,[35] 루나의 측근들을 대거 숙청하였다.루나는 후안 2세의 전 왕비 아라곤의 마리아(1403~1445)를 독살한 주범이라는 의심 역시 받고 있었다.[33] 형식적인 재판을 거쳐 루나에게 사형선고가 내려졌으며, 1453년 6월 2일, 권력투쟁에 패배한 루나는 바야돌리드 광장에서 참수되었다.[36]
4. 사망
알바로 데 루나가 처형된 후, 후안 2세는 건강이 크게 나빠져 1454년 7월 20일에 바야돌리드에서 사망했다.[33] 왕위는 엔리케 4세에게 계승되었다.[37] 엔리케 4세는 이복 남동생 알폰소에게 왕위를 물려줄 것을 우려하여, 계모 이사벨과 그녀의 두 자녀를 왕궁에서 추방하고 아레발로라는 소도시로 유배를 보냈다.[37][38] 이사벨은 정신장애를 앓다가 실성하여 여생을 보냈다.[39]
5. 유대인 정책
후안 2세의 섭정들은 1411년에 바야돌리드 법을 발휘했는데, 이는 유대인들의 사회적 활동을 제한시키는 것이었다. 법 조항 중 주목할 만한 것에는 유대인들은 독특한 복장을 입어야만 하고 행정직이 금지되는 것 등이 있었다. 하지만 후안 2세가 왕위를 잡자마자, 그는 (데 루나에 의해 정치적 영향을 받았을 것 같음에도) 법령을 뒤집었고, 1391-1415년 사이의 대량의 개종 물결 이후에도 이미 고통받던 카스티야의 유대인들에게 한 단계 더 관용적인 자세로 대했다.[4]
6. 그라나다 토후국과의 관계
1431년 후안 2세는 유수프 4세를 그라나다 토후국의 술탄으로 옹립하고, 그 대가로 조공을 받고 카스티야의 속국으로 삼았다. 이 외교적 관계는 아베나마르 로망스에 묘사되어 전해진다.[4]
7. 가족 관계
후안 2세는 두 번 결혼했다. 1418년에 아라곤 왕 페르난도 1세의 장녀 마리아 데 아라곤과 혼인하였고, 1445년에는 포르투갈의 인판테 주앙의 딸 이자벨 드 아비스와 재혼했다.[7] 이 두 번의 결혼을 통해 자녀들을 두었다.
7. 1. 첫 번째 결혼: 아라곤의 마리아
1418년, 후안 2세는 그의 친삼촌인 아라곤 왕 페르난도 1세의 장녀 마리아 데 아라곤과 혼인했다.[15] 이 결혼으로 다음 자녀들이 태어났다.이름 | 출생 | 사망 | 비고 |
---|---|---|---|
카탈리나 | 1422년 | 1424년 | 아스투리아스 여공, 후안 2세의 추정상 후계자 |
레오노르 | 1423년 | 1425년 | 아스투리아스 여공, 카탈리나 사후 후안 2세의 추정상 후계자 |
엔리케 4세 | 1425년 | 1474년 | 1454년 카스티야 왕위 계승 |
마리아 | 1428년 | 1429년 | 요절 |
이들 중 엔리케 4세만이 유아기를 넘어 성장하였다.
7. 2. 두 번째 결혼: 포르투갈의 이사벨
1445년 후안 2세는 포르투갈의 인판테 주앙의 딸 이자벨 드 아비스와 재혼했다.[7] 이 결혼으로 두 명의 자녀가 태어났다.이름 | 출생 | 사망 | 비고 |
---|---|---|---|
이사벨 1세 | 1451년 | 1504년 | 남편 페르난도 2세와 함께 스페인 통일의 기초를 수립. 딸 캐서린은 헨리 8세와 혼인. 장녀는 광녀 후아나.[7] |
알폰소 | 1453년 | 1468년 | [7] |
참조
[1]
서적
Nobiliario de los reinos y señorios de España (revisado por A. Rujula y Busel).
https://books.google[...]
2019-12-24
[2]
문서
Index of the Salazar y Castro Collection: 28313. Royal Academy of History.
[3]
웹사이트
Tabla genealógica de la familia de Medrano, señores de San Gregorio. [Manuscrito]
https://www.european[...]
2024-08-14
[4]
간행물
Encyclopedia of Homosexuality
Garland
2020-07-02
[5]
문서
From 'Crónica de Juan II' by Lorenza Galindez de Carvajal (1517)
[6]
웹사이트
Find a Grave
[7]
문서
立石、P123
[8]
문서
関、P180
[9]
문서
西川、P186
[10]
문서
西川、P183 - P184
[11]
문서
西川、P186 - P189
[12]
문서
西川、P202 - P207
[13]
문서
関、P180 - P181、P240 - P241、西川、P207 - P208
[14]
문서
西川、P215 - P216
[15]
문서
西川、P194、P204、P208
[16]
서적
대항해 시대의 탄생
시공사
[17]
서적
스페인사
까치글방
[18]
문서
Vicens Vives, 2003, p. 31.
[19]
서적
Juan II de Aragón (1398-1479): monarquía y revolución en la España del siglo XV
Urgoiti editores
[20]
문서
Vicens Vives, 2003, p. 42-43.
[21]
문서
Vicens Vives, 2003, p. 44-46.
[22]
서적
Juan II de Aragón (1398-1479): monarquía y revolución en la España del siglo XV
Urgoiti editores
[23]
문서
Vicens Vives, 2003, p. 56-57
[24]
문서
Vicens Vives, 2003, p. 57-63.
[25]
문서
Vicens Vives, 2003, p. 66-68.
[26]
서적
Juan II de Aragón (1398-1479): monarquía y revolución en la España del siglo XV
Urgoiti editores
[27]
문서
Vicens Vives, 2003, p. 95-137.
[28]
문서
"Luna, Álvaro de". Encyclopædia Britannica. 17 (11th ed.). Cambridge University Press. p. 123.
[29]
서적
대항해 시대의 탄생
시공사
[30]
백과사전
엔리케 4세
다음백과
[31]
서적
여왕의 시대
미래의 창
2011-05-25
[32]
웹사이트
Isabel of Portugal (1428–1496)
[33]
문서
"Luna, Álvaro de". Encyclopædia Britannica. 17 (11th ed.). Cambridge University Press. p. 123.
[34]
서적
여왕의 시대
미래의 창
2011-05-25
[35]
백과사전
이사벨 1세
네이버 지식백과
[36]
웹사이트
Isabel of Portugal (1428–1496)
https://www.encyclop[...]
2019-09-23
[37]
문서
Isabel of Portugal (1428–1496)
[38]
서적
여왕의 시대
미래의 창
2011-05-25
[39]
웹사이트
Isabel of Portugal (1428–1496)
https://www.encyclop[...]
2019-09-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